'10대 여성 무덤' 추정 황남동 120-2호분 유물 보존 처리 중 발견
거꾸로 된 하트 모양 구멍에 날개 붙여…신라 공예 기술 연구 주목
거꾸로 된 하트 모양 구멍에 날개 붙여…신라 공예 기술 연구 주목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북 경주 황남동의 신라 무덤에서 발견된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를 사용한 장식이 처음 확인됐다.
금관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토된 금동관 가운데 첫 사례라 주목된다.
국가유산청은 2020년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비단벌레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곤충 중 가장 아름다운 딱정벌레의 일종이다.
녹색이나 갈색 몸에서 화려한 광택을 뽐내 예부터 귀하게 여겨졌다. 신라 무덤 중에서는 황남대총, 금관총 등 최상급 무덤에서만 그 존재가 확인된 바 있다.

국가유산청은 "그간 말갖춤, 허리띠 등에 비단벌레 날개가 장식된 사례는 있었지만, 금관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토된 금동관에서 확인된 사례는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금동관이 나온 황남동 120-2호 무덤은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황남동 120호 무덤 남쪽에 자리한 무덤이다.
발굴 조사 결과, 이 무덤에서는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귀걸이, 구슬 팔찌 등 화려한 장신구 일체가 무덤 주인이 착용했던 상태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 주목받았다.
이번에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발견된 금동관은 화려한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아래에는 둥글게 만든 관테가 있고, 그 위에 출(出)자 모양 세움 장식 3개와 사슴뿔 모양 세움 장식 2개를 덧붙여 세운 형태다.

세움 장식과 관테는 거꾸로 된 하트 모양의 구멍을 뚫어 장식했다.
구멍 뒤쪽으로는 비단벌레 날개를 붙였는데, 금동관 곳곳에 뚫은 구멍을 화려한 빛깔의 비단벌레 날개로 메워 장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날개 장식은 총 15장 확인됐으며 이 중 일부는 관에서 떨어져 흩어진 상태였다.
금동관에 그대로 붙어 있던 장식 7장 가운데 일부는 3장씩 겹쳐 있었고 나머지는 한 장씩 있었다. 대부분 색이 변했으나, 부분적으로는 원래 빛깔이 남아있다고 조사단은 전했다.

발굴 조사를 담당한 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장은 "신라 문화권에서 발견된 금관이나 금동관에서 이런 형태로 구멍을 뚫고 장식한 사례는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금동관의 비단벌레 장식은 신라 공예 기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흔히 나뭇가지 모양 장식으로 일컫는 출(出)자 모양 세움 장식은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다는 게 학계 중론이다.
국가유산청은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하는 동시에 화려했던 신라 공예 기술과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국가유산청은 출토된 유물을 보존 처리하며 연구·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황남동 120호 무덤은 일제강점기에 그 존재가 알려졌으나, 이후 민가가 들어서는 과정에서 훼손되면서 잊혔다.
국가유산청과 경주시는 2018년부터 황남동 120호 무덤 일대를 조사해 북쪽에 위치한 120-1호 무덤과 남쪽의 120-2호 무덤을 추가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세 무덤은 약 1천500년 전인 5∼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화려한 장신구로 눈길을 끈 120-2호 무덤 주인이 여성일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무덤에서 찾은 치아를 조사해 무덤 주인은 12∼15세 여성이며, 피장자의 곁에 3살 안팎의 어린아이를 순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