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일동 사고 후 서울시에 하루 평균 50건씩 싱크홀 의심 신고
연합뉴스
입력 2025-05-06 07:30:25 수정 2025-05-06 07:30:25
시민 불안감에 신고 2배로 늘어…박용갑 "관련 정보 투명하게 공개해야"


강동구 대형 땅꺼짐 현장(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 현장의 모습. 전날 오후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발생한 지름 20m, 깊이 18m가량의 대형 싱크홀(땅꺼짐)에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빠져 실종됐다. 2025.3.25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로 1명이 숨진 이후 시민 불안이 커지면서 지반침하 의심 신고가 평상시의 2배 이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명일동 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다음 날인 3월 25일부터 4월 22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시에 접수된 싱크홀·포트홀·지반침하 관련 신고는 1천450건에 달했다.

하루 평균 의심 신고가 50건씩 들어온 셈이다.

올해 1월 1일부터 사고 당일인 3월 24일까지 83일 동안 접수된 신고는 1천857건이다. 하루 평균 22.4건꼴이다.

다만, 이는 모두 서울시가 응답소 민원분석시스템을 이용해 추린 결과로 실제 지반침하나 포트홀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민원도 포함돼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반침하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신고도 다수 섞여 있다"면서 "명일동 싱크홀 사고 이후 전체적인 신고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대형 싱크홀 사고로 인명 피해까지 발생하자 단순 포트홀(도로 파임) 등도 지반침하로 오인하는 등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가 지반침하 안전지도(우선정비구역도)를 공개하지 않은 점도 시민 불안을 되레 키운 요인 중 하나로 거론된다.

시는 지난해 땅 꺼짐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한 안전 지도를 만들었지만,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며 이를 비공개하고 있다.

다만 시는 시민 불안을 줄이기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탐사 결과를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지반침하에 대한 시민 신고 내용과 점검 결과를 안내하고 있다.

박용갑 의원은 "서울시 지반침하 위험지도 비공개 결정으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지반침하 위험지도 조사 결과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개하도록 지하안전관리법을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js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