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 위 노출된 별도 구조물 없어…무안·여수·청주·포항공항 콘크리트 구조물
전문가들 "이번 참사 계기로 로컬라이저 시설물 설치 규정 정비해야"
전문가들 "이번 참사 계기로 로컬라이저 시설물 설치 규정 정비해야"
(대구=연합뉴스) 박세진 황수빈 기자 = '콘크리트 둔덕' 설치로 논란이 된 무안국제공항과는 다르게 대구국제공항 착륙유도장치(로컬라이저)는 평지에 설치돼 안전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주항공기 참사를 계기로 로컬라이저 시설물 설치 규정을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제각각 설치'로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가 지적된 만큼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한국공항공사 대구공항 등에 따르면 대구공항에는 로컬라이저가 세 곳에 설치됐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의 착륙을 돕는 시설로 활주로의 진입하는 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방위각 지시 장치라고도 불린다.
대구공항의 경우 지면 위로 노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평탄면 위에 이 시설이 설치됐다.
로컬라이저를 지지하는 시설물은 지면 아래에 묻혀 있다.
대구공항 관계자는 "집을 짓는 경우 땅을 파 기초작업을 한 뒤 그 위에 세운다"며 "장비(로컬라이저)도 마찬가지로 고정하기 위해 기초작업 후 나사 같은 걸 박아서 로컬라이저를 설치한다"고 설명했다.
항공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의 경우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 위에 이 장비가 세워졌다.
국내외 항공 전문가 등은 이번 참사의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콘크리트 둔덕을 지목하기도 했다.
대구공항 관계자는 "대구공항은 평평해 지면위에 (이 시설을) 설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여수공항, 청주공항, 포항공항의 로컬라이저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구성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참사와 관련, 시설물 설치 규정 정비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근형 한국교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이번 참사의 경우 로컬라이저를 받치는 둔덕이 높아서 문제가 됐다"며 "앞으로 로컬라이저 등의 시설물을 설치할 때 안전을 고려해 규정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만들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박찬근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는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철재로 만들어야 하면서도 어느 정도 견고해야 일정하게 정보를 보낼 수 있다"며 "항공법에는 활주로 연장선 부근 시설물은 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만들라고 돼 있어 서로 상충하는 부분이 있다. 절충안을 찾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psjpsj@yna.co.kr
hsb@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