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실명 유발하는 망막혈관폐쇄질환 치료 실마리 발견"
연합뉴스
입력 2023-03-23 13:35:28 수정 2023-03-23 13:35:28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 서울아산병원·KAIST과 공동연구
생체 모사 일산화질소 전달하는 혈관 확장 조절법 개발


UNIST 조재흥 교수 연구팀[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혈관을 확장해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불안정한 특성으로 사용에 제약이 많다.

지금까지 불안정한 일산화질소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됐지만, 화합물에 독성이 존재하고, 일산화질소의 전달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막힌 혈관이 선택적으로 복구되는 것을 관측하지는 못했다.

이에 연구진은 생체 내 존재하는 일산화질소 결합 단백질의 활성 자리를 모방한 '철-일산화질소 복합체'를 합성했다.

연구진은 이 화합물에 빛을 비춰 원하는 시간에 특정 부위로 일산화질소를 전달했다.

이를 통해 막힌 혈관을 확장해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동물 모델에서 시공간적인 일산화질소 전달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 그림시공간적 일산화질소 전달을 통한 혈관폐쇄질환 치료 반응 도식.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UNIST 조재흥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웠던 일산화질소를 생체 모사를 통해 안정화했고, 외부 자극을 통해 필요한 양을 선택적으로 전달해 급성 혈관 폐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는 이전에 없던 혁신적인 치료 방법으로 향후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Cell)의 자매지인 '켐'(Chem)에 지난 16일 발표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선도연구센터, 기초과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yongt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