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

테러 대응 역량 강화…경찰특공대 전국 확대 설치 추진

연합뉴스입력
권역별 '중심특공대'와 드론·화생방 대응 '통합팀'도 편성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26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내 세종경찰청 기동대에서 열린 '2021 정부세종청사 대테러 종합훈련'에서 경찰특공대원이 제밍건을 이용해 드론을 제압한 뒤 폭발물을 파괴하고 있다. 2021.11.26 kjhpress@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경찰이 테러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내년에 특공대를 전국 시도경찰청에 확대 설치하는 안을 행정안전부와 협의 중이다.

21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테러방지법상 국내 일반테러 대응 주관기관으로서 전담 조직과 장비 등 대테러 인프라를 확보해 실질적 대응 역량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테러 양상이 다양화하고 고도화하는 만큼 AI(인공지능) 등 과학기술 발전에 맞춰 대테러·작전업무 수행의 패러다임도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경찰청은 현재 비직제인 '대테러과'를 직제화하고, 특공대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금은 18개 시도경찰청 중 15곳에 특공대(669명)를 운영 중이다. 경찰은 현재 특공대가 없는 울산·강원·충북에 내년에 특공대를 창설할 수 있도록 소요 정원 105명(특공대별 35명) 확보를 행안부와 협의 중이다.

경찰청은 또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테러 대응이 가능하도록 '권역별 중심특공대'를 운영하고, 드론과 화생방 등 전문 요원을 추가한 '통합팀'도 편성할 계획이다.

권역별 중심특공대는 전국을 수도·중부·내륙·영남·호남 등 5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서울·세종·대구·부산·광주를 '중심특공대'로 지정해 인력과 장비를 보강하고 권역 내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형태다.

또 기존 전술·EOD(폭발물처리반)·탐지팀은 총기·폭발물 등 전통적인 위협에 대비하는 것이 주된 업무인 만큼, 미래에 닥칠 새로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드론·화생방 등 전문 요원을 추가한 통합팀을 재편할 예정이다.

대테러 작전 수행에 필수적인 장비를 지속해서 보급하는 한편, 경찰특공대 역량을 높일 첨단 장비도 도입한다.

올해는 전파차단기와 드론탐지기, 작전상황 전송 장비, 폭발물처리 로봇 등 신형장비 27종을 차례로 들이고 있다.

정보기술(ICT) 기반의 장비·통신을 결합한 '통합플랫폼'을 개발하고, 대테러 장비를 연구하고 개발할 연구실 설립도 장기 과제로 추진한다.

또한 112타격대 폐지에 따라 내년에는 군 기관교육 계획에 경찰관 위탁교육 과정을 개설해 전문화 교육을 추진하고, 국제 학술 포럼과 대테러 전문가 그룹 등을 활용해 대내외 협업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