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불가' 간암 환자, 항암 치료 후 간이식해 8년째 생존"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암이 폐까지 전이돼 간 이식 수술을 받을 수 없던 간암 환자가 항암 치료 후 간 이식을 받아 8년째 재발 없이 생존한 사례가 보고됐다.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주동진 교수는 간이식 수술 불가 판정을 받았던 남성 환자 A씨(62)에 2013년 간이식을 시행한 후 추적한 결과 지금까지 건강히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환자 사례는 최근 대한간암학회지(Journal of Liver Cancer)에 게재됐다.
일반적으로 암이 전이된 환자는 장기 이식 수술을 받지 못한다. 장기 이식을 하더라도 암이 전이되거나 재발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A씨는 2009년 간암으로 6개월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 간에 암이 생긴 건 물론 간문맥과 하대정맥 등 혈관에도 암이 침범해 암성 혈전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폐에도 암이 전이되면서 간 이식도 받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간이식팀은 우선 전이된 암을 제거해 간을 이식할 수 있는 상태까지 만드는 걸 치료 목표로 삼았다.
방사선종양학과는 방사선 치료, 흉부외과는 폐 전이 치료, 소화기내과는 항암 치료, 영상의학과는 고주파 열 치료와 색전술을 통한 암성 혈전 치료 등을 각각 맡았다. 이 중에서도 방사선종양학과와 소화기내과가 환자를 동시에 치료하는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CCRT, concurrent chemo radiotherapy)의 효과가 컸다.
다학제 진료 덕분에 A씨는 간 외 장기로 전이된 암이 제거돼 간이식이 가능한 수준까지 호전했고, 아들로부터 간을 이식받을 수 있었다. 이후 A씨는 장기 이식에 따른 면역억제제를 복용할 뿐 암 재발 없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있다.
주 교수는 "장기이식센터의 긴밀한 다학제 진료 시스템이 빛을 발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학제 진료를 통해 수술 가능성이 낮은 환자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