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

'팽창하는 도시' 김해시는 옛말…인구 2년 연속 감소

연합뉴스입력
1996년 이후 지난해 인구 처음으로 줄어 지난해 117명 이어 올해 9월까지 3천557명 감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해=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매년 인구가 늘어 다른 지자체 부러움을 샀던 경남 김해시가 인구 걱정을 해야 할 처지가 됐다.

김해시는 올해 9월 기준, 지난해 말보다 주민등록 인구(외국인 제외)가 3천557명이 줄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54만2천338명이던 인구가 53만8천781명(-0.66%)으로 감소했다.

김해시는 지난해에도 2019년보다 인구가 117명(-0.02%) 줄었다.

김해시 인구가 감소한 것은 1995년 김해시·김해군이 합쳐 김해시가 된 이후 지난해가 사상 처음이다.

올해 4분기 인구 추세가 앞선 1∼3분기 감소분을 상쇄하지 못하면 2년 연속 인구가 줄어든다.

김해시는 18개 시·군이 속한 경남에서 창원시에 이어 인구, 경제 규모 제2위 도시다.

김해군과 통합한 이듬해 1996년 김해시 인구는 28만여 명에 불과했다.

[김해시 홈페이지 캡처]

그러나 인구가 300만 명이 넘는 부산시와 국내 최대 산업단지를 품은 창원시를 동일 생활권으로 둔 지리적 이점에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저렴해 한 해도 빠지지 않고 인구가 늘었다.

장유신도시 개발 등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입주가 있을 때는 불과 1년 사이 김해시 인구가 10% 이상 증가하기까지 했다.

창원국가산업단지에 직장이 있는 시민들이 창원터널 바로 넘어 김해 장유, 율하신도시로 이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매년 1% 이상 꾸준하게 증가하던 김해시 인구는 2015년부터 증가율이 1% 아래로 떨어지더니 2020년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김해시는 일단 장유, 진영 등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대부분 끝나 타지역 인구 유입 효과가 사라졌고, 젊은 층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 등 대도시로 빠져나간 것을 인구 감소 원인으로 파악했다.

김해시 관계자는 "인구감소가 국가적인 현상이라 김해시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 입주 등 부동산 호재가 별로 없어 당분간 인구 늘리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sea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