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미국발 한파에 3%대 급락 마감…4,000선 깨져(종합)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우려와 '인공지능(AI) 버블' 논란 재점화 충격에 코스피가 18일 3% 넘게 급락, 4,000선 아래로 주저앉았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4,000선 아래로 내려온 건 이달 7일 이후 7거래일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으나 이후 꾸준히 낙폭을 확대해 오후 1시 22분께는 3,953.26까지 밀리기도 했다.
하락을 주도한 건 기관과 외국인이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6천768억원을 순매도한 가운데 금융투자와 연기금이 각각 4천287억원과 594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외국인도 5천502억원을 순매도했으나 개인은 홀로 1조2천414억원을 순매수하며 저가매수에 나섰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천146억원 매도 우위를, 기관과 개인이 각각 6천255억원과 830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7.3원 오른 1,465.3원으로 집계됐다.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필립 제퍼슨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부의장이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천천히 진행(proceed slowly)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준이 내달 기준금리를 추가인하할 것이란 기대가 약화한 것이 시장 충격으로 이어졌다.
억만장자 투자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 틸 매크로가 지난 분기 9천400만 달러(약 1천375억원) 규모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이 가뜩이나 불안하던 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 투자심리를 냉각시킨 것 또한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분위기가 파급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조정에 들어갔다.
일본 닛케이255 지수는 3.22% 내린 48,702.98로 장을 마쳤고, 대만 가권지수는 2.52% 내린 26,756.12로 마감했다. 오후 3시 42분 현재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각각 1.06%와 1.41%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으며, 홍콩 항셍지수는 2.02% 하락했다.
국내에서도 최근까지 지수 상승을 견인했던 반도체와 대형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삼성전자[005930]는 2.78% 내린 9만7천800원에, SK하이닉스[000660]는 5.94% 급락한 57만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SK스퀘어[402340](-6.9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5.92%), LG에너지솔루션[373220](-4.32%), 두산에너빌리티[034020](-4.31%), KB금융[105560](-3.39%), 셀트리온[068270](-3.21%), 현대차[005380](-2.58%), 기아[000270](-2.47%), NAVER[035420](-2.35%) 등 여타 시가총액 상위주도 일제히 하락했다.
'마스가'(MASGA)로 불리는 한미 조선 산업 협력 사업 기대감에 장초반 강세를 보이던 HD현대중공업[329180](0.00%)과 한화오션[042660](-2.37%)도 오후 들어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거나 하락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다.
업종지수는 대부분 섹터가 하락한 가운데 증권(-4.77%), 기계·장비(-4.53%), 전기·전자(-4.16%), 건설(-4.08%), 의료·정밀(-3.56%), 화학(-3.43%), 금융(-3.24%), 보험(-3.14%) 등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한지영 키움증권[039490] 연구원은 "AI주 악재 재점화와 연준 위원간 의견대립, 11월 이후 코스피의 빈번한 주가 진폭 확대로 인한 투자자 피로감 증가와 맞물려 한국과 일본 등 그간 많이 오른 증시를 중심으로 일부 수익화 움직임이 나타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새로운 악재가 나타난 게 아니라 기존의 동일한 재료가 재탕, 삼탕되고 있는 것이고,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물량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닌데 일시적으로 수급 기반이 취약해지다보니 이 같은 급락을 맞은 것 같다"면서 3%대의 낙폭은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고 한 연구원은 덧붙였다.
이경민·정해창 대신증권 연구원은 "일희일비하며 다소 격한 조정 국면이 진행 중이다. 11월 코스피와 S&P500은 고점 대비 약 6%와 3.5%씩 하락했다"면서 "20일 새벽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AI 버블 논란이 지속되고 있고 연이은 부정적 이슈에 시장은 실적발표에 앞서 관망심리가 우세한 상황"이라고 평했다.
코스닥 지수도 23.97포인트(2.66%) 내린 878.7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3.05포인트(0.34%) 내린 899.62로 개장한 이후 마찬가지로 낙폭을 확대하는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3천843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857억원과 1천185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알테오젠[196170](2.01%), 보로노이[310210](1.30%), 리가켐바이오(0.73%)가 올랐고, 에코프로[086520](-7.48%), 에코프로비엠[247540](-6.09%), 에이비엘바이오[298380](-5.34%), 삼천당제약[000250](-4.52%) 등이 하락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4조451억원과 9조3천509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과 정규마켓 거래대금은 7조643억원이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