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외국인 순매수에도…환율, 장 중 10원 넘게 뛰며 1,470원 육박

연합뉴스입력
7개월 만에 최고…셧다운 해제 기대로 달러 강세, 엔화 약세 복합적 작용 "'서학개미'에 환율 하락 어려워…일 순매수 3억달러, 무역수지 흑자 보다 많아"
코스피, 4,100선 상승 마감(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코스피가 33.15p(0.81%) 오른 4,106.39에 거래를 마친 11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5.11.11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한 단계 더 올라섰다.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11.9원 오른 1,463.3원을 기록했다.

이날 주간 거래 종가는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효하고 미·중 갈등이 고조됐던 지난 4월 9일(1,484.1원) 이후 최고치다.

환율은 5.0원 높은 1,456.4원에 출발해 오름폭을 키워 장 중 1,467.5원까지 상승했다.

장중 고가 역시 지난 4월 9일(1,487.6원) 이후 가장 높았다.

환율이 더 오를 것이란 전망에 달러화 매도가 나오지 않는 가운데 결제 수요 등이 몰리면서 환율이 뛴 것으로 풀이됐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달러화 매도가 적은데 결제 등 달러 수요가 몰리면서 환율이 급등했다"고 말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도 "'서학개미' 영향력이 커진 상황에서 미국 정부 셧다운 폐쇄가 미국 투자 심리 강화로 이어지면서 달러화 상승에 베팅하는 분위기가 됐다"며 "환율이 계속 오르니 수출업체들도 달러화를 바로 내놓지 않고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달러화는 이날 미국 정부 셧다운 해제 기대감에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전일보다 0.01% 오른 99.618이다. 장 중에는 99.7대까지 오르기도 했다.

엔화는 일본 정부 재정정책 기대감에 약세였다. 최근 원화는 엔화를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엔/달러 환율은 이날 장 중 9개월 만에 최고치인 154.487엔까지 올랐다가, 오후 3시 30분 무렵에는 154.213엔을 나타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8.81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6.13원 상승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셧다운 해제 기대감에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했고, 엔화 약세가 달러 매수심리를 키운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코스피 상승 출발(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11일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실시간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2025.11.11 hama@yna.co.kr

이에 더해 '서학개미 열풍' 등 내국인의 해외투자 증가세가 원화에 구조적인 약세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백석현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9월 17일부터 어제까지 서학개미가 하루 평균 3억달러를 순매수했다"며 "최근 환율 상승에 서학개미 영향이 생각보다 크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는 일평균 2억8천만달러 정도인데, 최근 수출업체들이 달러 매도를 미루고 있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서학개미 평균 달러 매수액보다 적은 금액이 시장에 풀리는 셈"이라며 "서학개미의 미국 주식 투자가 한풀 꺾이기 전에는 원/달러 환율이 좀처럼 내리기 힘든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날 국내 증시에서 소폭 순매수했다. 이들은 지난주엔 원/달러 환율 상승의 핵심 요인이었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33.15포인트(0.81%) 오른 4,106.39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78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 상단을 올해 4월 기록했던 1,480원대 정도로 예상했다.

문정희 이코노미스트는 "국민연금 등 금융기관 환 헤지 물량도 예상돼 1,480원 정도가 단기 상단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서정훈 수석연구위원도 "관세 협상 타결이 아직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고, 미국 금리 인하 기대 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480원대 정도를 고점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당국은 일단 시장을 지켜보고 있는 것 같은데 1,470원에 근접하면 경고성 언급은 나올 수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42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