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이종섭 도피 의혹' 이원모 전 비서관 재소환
범인도피 피의자…호주대사 지명 과정 집중 추궁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 이종호도 2차 참고인 조사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도피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12일 재차 소환했다.
지난 1일에 이어 두번째 조사다.
범인도피 혐의를 받는 이 전 비서관은 이날 오전 9시 55분께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며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이 전 장관을 호주대사로 임명했나",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사실을 몰랐다는 입장인가" 등 취재진 질의에 답하지 않은 채 조사실로 향했다.
이 전 비서관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작년 1월까지 대통령의 인사 사무를 총괄한 인사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사무를 담당했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이 근무 당시 인사비서관실과 외교부 사이에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과 관련한 논의가 진행된 정황을 확보해 조사 중이다.
호주 도피 의혹은 이 전 장관이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를 받다가 전격 호주대사로 임명돼 출국한 사건이다. 출국금지 상태였던 이 전 장관은 작년 3월 호주대사로 임명된 지 나흘 만에 출금이 해제돼 출국할 수 있었다.
특검팀은 지난 8월 이 전 비서관의 차량 및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한 바 있다.
검사 출신인 이 전 비서관은 당시 대표적인 '친윤' 검사로 분류된 인물이다. 2022년 대선 때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캠프 법률지원팀에서 일했다.
이 전 비서관의 부인 신모씨는 현재 김건희 특별검사팀의 수사 대상이다. 신씨가 대표로 있던 자생바이오 등 관계사를 매개로 100억원 안팎의 비자금이 조성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신씨는 자생한방병원 설립자인 신준식 자생의료재단 명예 이사장의 차녀이기도 하다.

임성근 전 해병대 사단장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도 다시 소환됐다. 지난 10일에 이어 두번째 참고인 조사다.
구속 상태인 이 전 대표는 오전 9시 40분께 정장 및 마스크 차림으로 호송차에서 내려 특검 조사실로 향했다.
"임성근 전 해병대 사단장과 일면식 없다는 입장 유지하는지", "김건희 여사에게 임 전 사단장 구명을 부탁했는지" 등을 묻는 취재진 질의에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이 전 대표는 '멋쟁해병' 단체대화방 멤버들과 모의해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 명단에서 빼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 전 대표가 속한 '멋쟁해병' 대화방은 임 전 사단장의 주요한 구명통로로 지목돼왔다. 해당 대화방에는 이 전 대표를 비롯해 송호종 전 대통령경호처 경호부장, 사업가 최택용씨 등 5명의 해병대 전역자가 참여했다.
특검팀은 이 전 대표가 김 여사와의 친분을 활용해 임 전 사단장을 구명하려 했는지 조사하고 있다.
앞서 특검팀은 7월 이 전 대표의 자택 및 차를 압수수색했고, 8월에는 한강변에서 휴대전화를 파손하려던 정황을 포착해 수사해왔다. 최근에는 단체대화방 일원들을 소환해 대화내용과 임 전 사단장과의 관계를 캐물었다.
이 전 대표는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주요 수사 대상이기도 하다. 그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으며, 2차 주가조작 시기에는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 1차 주가조작 주포인 이정필 씨의 형사재판에 실형 대신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수 있도록 힘써주겠다며 8천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winkit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