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한국 연예

故 전유성, 후배들 존경+오열 속 영면…'1호 개그맨' 마지막 무대는 '개콘' [엑's 이슈]

엑스포츠뉴스입력


'1호 개그맨' 故 전유성이 영면에 들었다.

28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고 전유성의 영결식이 엄수됐다. 고인의 장례는 코미디언협회장으로 치러졌다.

영결식에는 김학래, 이수근, 최양락, 팽현숙, 이경규, 조세호, 이영자, 김신영, 허안나, 이철용, 김원효, 심진화, 오나미, 박준형, 임하룡 등 수많은 개그맨들이 모여 전유성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영결식에서는 최양락이 약력을 소개하고, 이홍렬·김신영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표인봉이 기도를 올렸으며, 개·폐식은 장의위원장을 맡은 김학래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장이 담당했다. 전체 영결식은 이수근이 진행했다.



운구 행렬은 오전 7시 30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로 이동해 이곳에서 노제(路祭)가 치러졌다. 노제는 KBS 2TV ‘개그콘서트’ 회의실이 있는 KBS 신관 연구동과 녹화 스튜디오에서 엄수됐다.

특히 고인이 생전 큰 애정을 쏟았던 '개그콘서트' 녹화장을 한 바퀴 돌기도 했으며, 무대 위에도 운구 행렬이 올랐다. 고인은 '개그콘서트'의 창립 멤버이자 기획자였던 만큼 마지막까지도 '개그콘서트' 무대를 장식하며 대한민국 국민들을 웃고 울게 만들었다.

고인의 장례식부터 영결식까지 후배들은 끝없는 눈물을 보였다. 제자이자 세상을 떠나기 전 병원에서부터 함께했던 김신영은 "모든 이들이 허무맹랑하다고 했던 아이디어를 밤새 즐거워해주던, 아무것도 아닌 저를 사람으로 만들어주신 분"이라며 "어린 제자라도 존중해 주시던 분, 그분이 바로 우리 교수님이셨습니다"라고 말하며 오열했다.

김정렬은 평소 고인이 좋아했던 '숭구리당당 숭당당'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나의 형님, 저희들도 가야 할 길을 형님이 먼저 가셨습니다. 저희들도 곧 들어갈 날이 오겠지요. 형님의 가는 길을 막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갈 때 같이 갔으면 얼마나 좋았으리라만은, 웃으면서 가시는 길을 보내드리겠다. 숭구리당당 숭당당"이라고 전했다. 팽현숙은 "아저씨 좋은 데로 가세요"라고 외치며 눈물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사흘간 빈소에는 심형래, 유재석, 강호동, 김용만, 남희석, 이경실, 지석진, 신봉선, 이봉원, 이수근, 김경식, 이동우, 윤성호, 오나미, 허경환, 김지민 등 수많은 후배가 찾아와 조문했다. 전처인 진미령 역시 해외 스케줄로 인해 조문은 하지 못했으나 근조 화환을 보내며 추모의 뜻을 전했다.

장지는 고인이 2018년부터 건강이 악화해 입원하기 전까지 머물렀던 전북 남원이다.

한편 1949년생인 전유성은 지난 25일 오후 9시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

고인은 지난 6월 기흉 시술을 받은 뒤 건강 악화로 병원에 입원했고, 끝내 숨을 거뒀다.

전유성은 '1호 개그맨', '개그맨의 조상'으로 불린다. 그는 희극인을 ‘코미디언’이라 부르던 시대에 처음으로 ‘개그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개그를 하나의 전문 공연 장르로 자리매김시키며 한국 대중문화 속에서 개그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후배 양성에도 힘쓴 고인은 ‘코미디 시장’을 운영하며 신봉선, 황현희, 박휘순 등 많은 방송인을 배출했다.

사진 = 엑스포츠뉴스 고아라 기자 


댓글 31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