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세계

덴마크 총리, 그린란드 '강제피임' 피해자들 만나 직접 사과

연합뉴스입력
지난달 '사과문' 발표 이어 그린란드 방문…화해기금도 조성 트럼프의 그린란드 눈독에 관계개선에 속도
덴마크 총리[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 24일(현지시간) 그린란드의 '강제피임'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 공식 사과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날 그린란드 수도 누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그린란드인이라는 이유로 여러분들에게 가한 잘못된 일에 대해 사죄를 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덴마크 보건당국의 행위가 "그린란드 소녀들에게 심각한 후과를 초래한 배신행위였다"면서 "덴마크를 대표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공식 사과문을 낸 데 이어 이번엔 직접 그린란드를 찾은 것이다.

이날 자리한 피해자 다수는 프레데릭센 총리의 발언을 들으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외신은 전했다.

피해자인 크리스틴 베르텔센(66)씨는 AFP통신에 과거 젊은 시절 두 차례 자궁외임신, 여러 차례 수술 등을 겪었으며 모두 자궁 내 피임장치(IUD) 삽입술과 관련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사과를 직접 듣는 것이 고통을 치유하는 과정에서 너무 중요했다면서 "이제는 증오나 분노, 부정적인 감정이 나를 갉아먹도록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덴마크 정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92년까지 30여년간 그린란드 원주민인 이누이트족 인구 증가를 억제할 목적으로 여성 약 4천500명에게 시술에 대해 제대로 알리거나 동의받지 않고 IUD 삽입술을 시행했다.

이 사건은 지난해 이누이트족 여성 150여명이 동의 없는 시술로 인권을 침해당했다며 덴마크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공론화됐다. 덴마크와 그린란드 관계의 최대 걸림돌로 지목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1월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의사를 노골화하면서 덴마크는 그린란드 관계 개선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공식 사과도 그 연장선이다. 아울러 덴마크는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 위한 '화해 기금'도 조성할 계획이다.

광물, 석유, 천연가스 자원이 풍부한 그린란드는 약 300년간 덴마크 지배를 받다가 1953년 식민 통치 관계에서 벗어나 덴마크 본국 일부로 편입됐다. 인구는 5만7천명 정도다.

2008년 11월 자치권 확대를 위한 주민투표, 2009년 제정된 자치정부법을 통해 외교, 국방을 제외한 모든 정책 결정에 대한 자치권을 이양받았다.

자치정부법에 따르면 그린란드는 주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언할 수 있으나 경제적 자립성이 취약해 덴마크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한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