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 비자 우려 불식 나선 CES…"美정부와 협력해 최대한 지원"
삼성·LG등 수백개 기업 참석 'CES 2026' 내년 1월 개막
CTA "심각한 비자 문제없을 것…정부 관계자 만나 정확한 정보 게재"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미국 비자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6'의 주최 기관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신속·정확한 정보 업데이트를 약속하며 우려 불식에 나섰다.
한국은 CES에 매년 수백개의 기업이 참가하는 핵심 국가인 만큼 비자 문제가 없도록 미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킨제이 파브리치오 CTA 회장은 24일 서울 조선팰리스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비자 관련 대응책을 묻는 말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참가 기업들에 지원하고자 노력 중"이라며 "관련 정보가 빠르게 바뀌고 있는데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어 (CES 2026) 웹사이트에 게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리 샤피로 CTA 최고경영자(CEO) 겸 부위원장도 "미국 조지아주 체포·구금 관련 사건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정부 관료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실수였다고 생각하고 한국 투자를 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와 같은 사건이 재발할 우려는 없을 거라 생각한다"며 "심각한 비자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ES 2026'은 내년 1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리사 수 AMD CEO와 양위안칭 레노버 CEO가 기조연설을 맡으며 향후 연사는 추가될 예정이다.
샤피로 CEO는 "한국기업은 지난 1967년 LG전자를 시작으로 CES에 오랫동안 참석하고 있다"며 한국과의 협력 관계를 강조했다.
미국 가전업체인 제니스는 LG전자가 1995년 인수하며 LG전자의 자회사가 됐다.
그는 "한국은 세상을 재편하는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의 중심지로 수백 개의 한국기업들이 CES 전시장과 스타트업 전시존 '유레카 파크'에 참가하며 매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내년 행사에서 처음으로 CES 메인 전시장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가 아닌 근처 윈 호텔에 별도 공간을 조성한다.
이에 대해 샤피로 CEO는 "윈 호텔 역시 CES의 여러 베뉴 중 하나로, CES의 일부인 공간"이라며 "삼성은 CES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만큼 하나의 큰 비전을 한 공간에서 보여주기로 결정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CTA에는 CES 2026에서 처음으로 'CES 파운드리' 행사를 진행한다. 인공지능(AI)·블록체인·양자 컴퓨터 등 차세대 기술을 한 곳에 모아 데모 시연, 네트워킹, 콘퍼런스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jak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