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전력 수요 증가…유럽서 '탈원전 유턴' 움직임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로 원자력에 대한 각국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난 40년간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고수하던 덴마크 정부도 기조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덴마크 일간 폴리티켄과의 인터뷰에서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SMR와 같은 새로운 원자력 기술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며 "그것이 잠재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이 기술을 도입했을 때 그것이 덴마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덴마크는 1985년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도입하고 재생 에너지 중심의 전력 공급 정책을 이어왔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덴마크 전력의 80% 이상이 풍력, 바이오 연료,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에서 나온다. 글로벌 해상풍력 1위 업체인 오스테드의 본사도 덴마크에 있다.
가디언은 오고르 장관의 발언에 대해 "재생에너지 중심 국가인 덴마크가 40년간 유지해온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다"며 "(현실화할 경우) 이는 중대한 정책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덴마크에 앞서 유럽의 여러 국가가 기존 탈원전 정책에서 '유턴'하는 행보를 보여왔다.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도 지난 3월 원자력 기술의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한 바 있다.
재생 에너지를 강조하던 스페인도 지난 달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향후 10년간 원자력 발전소 7곳을 폐쇄하려던 계획을 재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영국, 프랑스, 벨기에도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 시한을 연장했다.
가디언은 저탄소 전력에 대한 수요 증가와 데이터센터 운영에 SMR을 활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기술 기업의 지지 등으로 원자력에 대한 유럽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hrse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