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 간담회서 "시공사의 적극적 협상과 조속한 보상" 요청

(광명=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지난달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에 따른 대피명령으로 집과 사업장을 떠나야 했던 현장 인근 구석말 주민들의 불편한 삶이 20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가스공급이 끊기면서 영업을 못 하게 된 자영업자들은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며 시공사의 신속한 보상을 촉구하고 있다.
2일 광명시에 따르면 지난 1일 광명역터미널 1층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박승원 시장이 구석말 주민과 건물주, 자영업자 대표 등 6명과 간담회를 열고 시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국토교통부와 광명시가 지난달 13일 사고 현장 반경 50m 내 대피명령을 내리면서 현재까지 구석말 주민 전체 21세대 55명이 주거지를 나온 상태다.
여기에 가스공급이 끊겨 영업을 중단한 식당, 주유소, 카센터 등 구석말 사업장 17개소가 영업 피해를 보고 있다.
이 가운데 3곳은 그럭저럭 사업장 문을 열고 있으나 접근성이 크게 떨어져 고객이 찾아가기 힘든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14곳은 대피 이후 지금까지 영업을 하지 못해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간담회에 나온 주민들은 신속한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한 주민 대표는 "신안산선 공사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에 조속한 1차 보상을 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요구해달라"고 말했다.
다른 주민들은 " 시공사에 지속적으로 보상을 요청하고 있지만 협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이에 박 시장은 "시가 사고 책임을 묻고 신속하게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촉구 공문 발송, 기자회견 개최 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사고 현장 인근 소상공인에게 도로점용료를 감면할 수 있도록 검토하고, 사고 복구 진행 과정에 대해서 주민들과 적극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사고가 발생한 양달로 구간 지반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요청에 대해 박 시장은 "사고 현장 인근 건축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은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며 "지하 200m까지 탐사 가능한 장비를 활용해 건축물뿐 아니라 도로 등 기반시설 전반에 대해 지반 안전성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사고 현장 인근 아파트 단지와도 간담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추가 반영한 후 주민 합동 기자회견을 개최해 피해 보상 등 사고 책임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어 민간 전문가 11명과 시 내부 기술직 국장 1명 등 총 12명으로 '광명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이달 내 구성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시공사의 안전진단 결과를 관계기관의 전문가와 함께 객관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11일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던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포스코이앤씨 근로자 1명이 숨지고, 하청업체 굴착기 기사 1명이 크게 다쳤다. 붕괴 사고 여파로 주변 도로도 통제된 상태다.
hedgeho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