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 '고려 상형 청자'展…국보 어룡 모양 주전자 등 97건 선보여

(경주=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머리를 살짝 든 채 꼬리를 치켜올린 신령스러운 존재가 연꽃 위에 앉아 있다. 용과 물고기가 합쳐진 어룡(魚龍)이다.
눈에는 철 안료로 점을 찍었고, 비늘 하나하나까지 생생하게 표현했다.
오묘한 비색(翡色)에 능숙한 조형 솜씨가 돋보이는 이 유물의 정체는 주전자. 꼬리 뚜껑을 열어 액체를 넣으면 어룡의 입으로 나오는 형태다.

높이가 12㎝에 불과한 향로 뚜껑은 어떨까.
날개를 활짝 펼친 수컷 원앙은 푸른 빛이 더해져 생동감이 넘친다. 900년 전 고려에서는 향로 뚜껑에 오리, 원앙 같은 물새 종류를 장식했다고 한다.
고려시대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상형 청자가 경주를 찾는다.
오는 3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개막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 청자'를 위해서다. 고려 상형 청자의 대표작을 경주에서 처음으로 소개하는 자리다.
윤상덕 국립경주박물관장은 "경주에서 만나기 어려운 도자기 전시"라며 "신라의 옛 수도 경주에서 고려청자의 비색과 형상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 상형 청자는 색과 조형성, 모두를 갖춘 공예품으로 꼽힌다.
고려 사람들은 은은하면서도 맑은 비취색으로 다양한 형상을 본떠 만들었다. 용, 기린과 같은 상상의 동물부터 복숭아, 석류, 연꽃 등의 식물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박물관 측은 "고려 상형 청자는 아름다운 비색 유약과 뛰어난 조형성으로 고려 공예의 높은 기술적 성취와 독자적 미감을 보여주는 한국 문화의 정수"라고 설명했다.
전시에서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에 만들어진 국보 어룡 모양 주자(注子·주전자를 뜻함)를 포함해 다양한 형상을 한 유물 97건을 볼 수 있다.
핵심은 국보, 보물 등 '명품'을 모은 제3부 '생명력 넘치는 형상들' 부분이다.
동물과 식물을 소재로 한 상형 청자는 물론, 용·어룡·기린 등 상상의 동물을 정교하게 장식한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특히 사자 모양을 한 두 향로는 주목할 만하다. 고려의 사자 향로는 중국 송나라 사람들이 극찬했을 정도로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국보와 국립해양유산연구소가 충남 태안 대섬 앞바다에서 찾아낸 보물은 모두 12세기에 만들어졌으나, 사자 모습과 표현법이 조금 다르다.

국보 사자 향로의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지만, 보물 향로에서는 우락부락하면서도 납작한 얼굴과 곳곳이 갈라진 모습이 눈에 띈다.
경주에서 열린 전시인 만큼 지역 문화와 연결한 부분은 눈여겨볼 만하다.
분황사 동쪽에 위치한 구황동 원지에서 출토된 오리 모양 잔, 월지에서 나온 사자 모양의 향로 뚜껑 등을 통해 경주에 남은 '상형'의 전통을 비춘다.
전시는 8월 24일까지.

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