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통제 미흡부서, 평가점수 무관 등급 최하로 하향가능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신한투자증권은 22일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최고경영진을 포함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10월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손실 사건 이후 비상경영체제에 돌입, 올해 1분기까지 내부통제, 조직문화, 인적혁신 등 다양한 과제를 추진했다.
이번 방침은 철저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의 최우선 원칙으로 도입하기로 하는 등 내부통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아울러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특정 임원에게 책임을 한정하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회사 임원이 공동으로 책임을 부담하겠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업무 특성상 내부통제 관련 임원은 이번 방침에서 제외된다.
부서 평가에서도 내부통제 중심 평가가 이뤄진다.
이를 위해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 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내부통제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평가 등급 최저까지 하향이 가능하도록 했다.
필벌뿐 아니라 신상도 강화했다. 내부통제 관련 미들·백 오피스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연말 성과 우수 부서 및 직원을 포상하는 업적 평가 대회에서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했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금융기관에서 고객의 신뢰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자산이다. 이번 비상경영체제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며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8~10월 ETF LP 업무부서에서 목적에서 벗어난 장내 선물 매매로 약 1천300억원으로 추정되는 손실이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