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황정현 기자 = 요즘 인터넷과 SNS, 메신저 프로필에서 지브리풍 그림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일본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인데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연출한 '이웃집 토토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수많은 명작을 보유한 곳이죠.
특유의 잔잔하고 따뜻한 감성이 매력적이란 평가를 받는데요.
지난달 25일 오픈AI가 '챗GPT-4o 이미지 생성'(ChatGPT-4o Image Generation) 모델을 내놓으면서 지브리 스타일을 모방한 이미지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 모델의 폭발적 인기로 인해 서버가 과부하에 걸리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는데요.
'지브리 열풍'을 반영하듯 최근 당근마켓에는 소액을 받고 지브리풍 그림을 그려주겠다는 거래 제안이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당근마켓 게시글에 첨부된 견본 이미지가 챗GPT 결과물과 굉장히 흡사하다는 점에서 무료 가입자도 이용할 수 있는 챗GPT 모델을 이용해 지브리풍 이미지를 그려주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챗GPT의 새로운 AI모델은 몇 가지 과제를 던져주기도 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저작권 침해 논란인데요,
오픈AI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박애란 한국저작권위원회 변호사는 "저작권법상 스타일이나 화풍 같은 아이디어 영역은 저작물로 보호되지 못하고 표현이 보호된다는 원칙이 있다"며 "저작권법상 보호받지 못해도 부정경쟁 방지법 같은 다른 법을 위반할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AI를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저작물을 사용한 것이 저작권 침해인지에 대한 쟁점이 있다"며 "관련 소송 등 분쟁들이 계속 생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오픈AI가 민감한 이미지 생성에 대한 자체 제한도 풀었다고 밝혀 윤리적인 측면에서의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오픈AI 측은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많은 창작의 자유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사용자가 생존한 예술가의 스타일로 이미지를 생성하려고 시도할 경우, 거부 응답이 나오도록 기능을 추가했다"고 답변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업로드된 이미지는 사용자가 삭제하면 30일 이내에 자동으로 삭제된다"며 "기본적으로 고객 데이터는 학습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기획·구성: 황정현
편집: 김혜원
영상: 연합뉴스TV·X @WhiteHouse·@sama·@joannejang·지브리스튜디오 홈페이지·유튜브 OpenAI
swee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