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처리량 2배 늘리고 응답시간은 10분의 1로"
연합뉴스
입력 2022-09-28 13:00:01 수정 2022-09-28 13:00:01
KAIST, 네트워크 기술 적용해 SSD 시스템 반도체 개발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SSD 시스템 반도체' 구조 모식도[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김동준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한 저장장치(SSD)의 처리량을 2배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SSD는 기존 자기디스크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보다 데이터 입출력(읽기·쓰기) 속도가 빨라,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주요 저장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용량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규모를 증가시키는 '스케일 업'을 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지적돼 왔다.

연구팀은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설계에서 주로 활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해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SSD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사용되는 기존 SSD 시스템보다 2배 많은 처리량을 제공하고, 응답시간을 약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동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는 없던 네트워크 패킷이 적용된 SSD 시스템 반도체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SSD의 성능 향상은 인공지능 연구,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알고리즘 성능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과거순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