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사·농업인·탈북민 등 참석…출판기념회·조의금 등 재산 의혹 부각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김치연 기자 = 국민의힘은 30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이른바 '국민청문회'를 열고 김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압박했다.
앞선 국회 인사청문회가 자료 제출이나 증인 채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깜깜이 청문회'였다고 보고 회계사와 농업인, 탈북민 등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자체 청문회를 통해 김 후보자의 각종 의혹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것이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연 국민청문회에서 "전대미문의 국민 우롱 사태를 이번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남겼다"며 "배추 농사, 반도자(叛逃者), 증여세 등 각종 의혹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자처럼 부도덕한 인사를 국무총리로 임명하게 된다면 앞으로 있을 어떤 인사청문회도 의미를 가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총리 인사청문특위 위원장인 이종배 의원은 "(김 후보자는) 증인·참고인 없이, 자료도 제출하지 않은 채 10대 의혹을 전혀 해소하지 못했다"며 "우리 당 청문특위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김 후보자에 대해) 부적격 판정을 했다"고 말했다.
특위 야당 간사인 배준영 의원은 "민주당은 총리 인준을 힘으로 밀어붙일 기세"라며 "표결로 국민의힘을 이길 수 있어도, 국민은 이길 수 없다"고 했다.
청문회에는 김경율 회계사와 김대희 한국농촌지도자 평창군연합회장, 김금혁 전 국가보훈부 장관정책보좌관,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박소영 전 국가교육위원 등이 참석했다.
현장에는 포기 배추가 쌓여 있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김 후보자가 과거 불법정치자금 사건 공여자 중 한 명인 강신성 씨로부터 미국 유학 시절 매달 450만원가량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을 두고 '배추농사 투자 수익 배당금'이라고 주장한 점을 계속 쟁점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날 김경율 회계사는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 의혹과 관련, 소득 출처가 불분명한 재산이 8억원이라면서 "공직자윤리법의 허점을 찾아내 출판기념회다 결혼식이다 빙부상이다 이런 식으로 사후적으로 꿰맞춘 조작 아닌가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배추 농사를 짓고 있다고 밝힌 김대희 씨는 '배추 농사에 투자하는 사람을 살면서 만나보거나 들은 사례가 있느냐'는 김희정 의원의 질의에 "저도 농사를 짓고 있지만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은 없다"며 "투자를 해서 돈을 다달이 얼마를 받고 하는 것은 사실 있을 수가 없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탈북민인 김금혁 씨는 김 후보자가 과거 논문에서 탈북민에 대해 '반도자' 표현을 쓴 것을 두고 "반도자는 배반하고 도망한 사람이란 뜻 외에 다른 뜻이 없다. 탈북민을 배신자라고 부르는 곳은 북한 정권뿐"이라며 김 후보자의 사과를 요구했다.
남성욱 교수는 국민의힘이 김 후보자의 중국 칭화대 석사 논문을 점검한 결과 표절률이 41%에 달한다고 지적한 데 대해 "(논문이) 34페이지인데 41% 표절이면 15장에서 20장 정도만 본인이 쓴 것"이라며 "유엔 보고서 등 4개를 주로 베꼈는데 간이 굉장히 크다고 생각했다"고 평가했다.
박소영 위원은 김 후보자의 아들의 입시 관련 의혹을 두고 "청문회를 보면서 많은 국민이 조국 전 장관의 자녀 입시 비리를 떠올릴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정치인들이 자녀 스펙을 관리해 준 부분은 국민이 (정치인들은) 우리와는 또 다른 세상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박탈감을 느끼게 한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페이스북에 김 후보자 인선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안철수 의원은 페이스북에 "총리를 비롯한 이재명 정부의 인사는 그야말로 역대급"이라며 "마치 '러브버그'처럼 전과자는 전과자끼리 붙나 보다"라고 비꼬았다.
인사청문특별위원으로 활동했던 주진우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재명 정부는 인사 검증 기준을 공개하지 않았다. 7대 기준을 발표했던 문재인 정부보다 후퇴했다"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자는 7대 검증 기준 중 무려 4개에서 위반 소지가 있다"며 "인사 검증 기준을 공개하지 않으면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친분에 휘둘리기 쉽게 된다"고 주장했다.
yum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