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공개 예정…시각정보 추론 기술도 확보

(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네이버가 최상급 언어 능력을 갖춘 추론형 인공지능(AI) 멀티 모달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30일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 씽크' 개발을 완료하고, 모델 설계·성능 등 세부 정보를 소개한 테크니컬 리포트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한국어 성능 벤치마크인 'KoBALT-700' 기준 거대언어모델(LLM) 언어 능력을 측정한 결과, 해당 모델은 유사 규모로 구축된 국내 주요 추론모델 및 글로벌 최고 수준 오픈소스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네이버는 전했다.
'KoBALT-700' 외에도 다른 한국어 성능 지표인 '해례' 등 총 8개 한국어 성능 지표에서 해당 모델은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씽크'가 멀티모달에 추론 기능을 결합한 모델로서, 언어 외에도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STEM (과학·기술·공학·수학) 문제를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하자 '하이퍼클로바X 씽크'는 이를 인식하고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 정답을 맞혔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네이버는 해당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계획이다. 지난 4월 네이버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는 누적 다운로드 50만회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하이퍼클로바X를 '지능의 향상'과 '감각의 확장' 두 가지 축으로 고도화하고 있다"며 "기술 패러다임에 발맞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yuns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