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무기한 휴진' 첫날 "진료 10% 내외 감소…정상 운영"(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4-06-27 15:52:25 수정 2024-06-27 15:52:25
"다음주 진료 조정 거의 없다"…"외래 못받고 돌아가는 환자도 없어"


'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 중입니다'(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27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 '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 중입니다'는 표지판이 걸려 있다. 2024.6.27 jandi@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오진송 권지현 기자 =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27일 대부분의 과목이 정상 진료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장에서는 이날 외래 진료가 10% 내외 감소하는 등 평소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잠정 집계한 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병원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대규모 참여할 가능성은 크지 않게 보면서도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마음을 졸이는 모양새다.

'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 중입니다'(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27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 '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 중입니다'는 표지판이 걸려 있다. 2024.6.27 jandi@yna.co.kr

◇ 무기한 휴진 첫날…외래진료 10% 내외 감소

의료계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교수 등이 속한 연세대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일반 환자의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및 시술 등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

휴진에 동참할지는 교수 개인의 자율에 맡기며, 휴진하더라도 입원 병동과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 필수적인 분야의 진료는 유지한다.

구체적인 동참 규모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일단 병원에서는 이날 외래 진료가 전년 동기 대비 5∼10%가량 감소한 것으로 파악했다.

단, 휴진하는 교수 대부분이 개인 사유나 병가, 학회 참석 등을 사유로 연차를 쓴 탓에 집단행동 명분으로 참여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병원은 전했다.

현재 연세의료원 산하 병원장들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이유로 휴진하는 걸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이강영 세브란스병원장 등은 지난 25일 교수들에게 서신을 보내 "환자 진료를 중단하지 않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병원장도 집단휴진을 만류하고, 내부에서도 협조가 없다 보니 비대위를 지지해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진료 일정도 직접 조정했다.

병원 관계자는 "지금이 학회와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시즌이어서 원래도 일정 규모의 휴진이 있는 때"라며 "다음 주 진료 조정도 별로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교수 A씨 역시 "대부분 정상 진료 중"이라며 "학회나 여름휴가 때문에 휴진한 교수들이 일부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세브란스병원 노조에서 파악한 외래진료 감소 폭도 병원과 유사하다.

노조 관계자는 "약 10% 정도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며 "일단 오늘과 내일 일부 교수들이 휴진하지만 다음 주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생각보다 큰 혼란이 없다"며 "환자들이 왔다가 진료받지 못하고 돌아가는 사례는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이어 휴진하는 세브란스병원(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직원 불만·환자 불안 여전…'종료 시점' 초미의 관심사

당장 큰 혼란은 없더라도 내부 직원들의 불만과 환자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간호사 B씨는 "교수들이 너무 무책임하다. 환자 두고 그러면 안 된다"며 "응급하지 않다고 검사를 못 받는 환자들이 적지 않은데, 검사가 계속 연기돼서 위중해지면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했다.

무기한 휴진이 시작된다는 소식에 환자들 사이에선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예약상담실에 진료를 그대로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해 '가능하다'는 확답을 듣고서야 안도하거나, 진료를 늦춰야 한다는 연락이 올까 봐 전화기만 붙든 채 전전긍긍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

내부에서도 휴진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환자 피해가 커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당장 혼란은 없지만 비대위가 휴진 기간을 '무기한'이라고 예고한 만큼 불확실한 상황이 지속하면서 환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비대위는 휴진 종료 시점으로 정부가 현 의료대란과 의대 교육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가시적 조치를 할 때를 제시했다.

비대위는 현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은 의료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인식에 있다고 주장하며 정부에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정부의 변화 없이는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병원 안에서도 언제 끝날지 예단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또 다른 병원 관계자는 "교수들도 (이번 무기한 휴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전혀 모르겠다고 한다"며 "정부 태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겠느냐. 정부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금방 철회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환자·시민사회·병원 노조 등은 교수들이 환자를 생각해 한발 물러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회정책국장은 세브란스 교수들을 향해 "집단행동은 이미 동력을 잃었을뿐더러 '몽니 부리기'식 집단행동은 의사에 대한 국민 불신만 키울 것"이라며 "휴진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6개 단체가 소속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도 이날 세브란스병원 휴진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적 집단행동이며 국민을 무시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하며 철회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힘없고 관련 없는 환자의 생명을 볼모로 잡는 의사들의 행태에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권미경 세브란스병원 노동조합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의료공백 장기화 사태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전공의(집단사직) 사태로 외래진료가 줄었는데 (이번 휴진으로) 더 빠지게 되면 환자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중재가 빨리 이뤄지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