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무제한' 서울 기후동행카드, 내달 1일 본사업 시작(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4-06-26 11:35:26 수정 2024-06-26 13:29:09
1인당 월평균 3만원 절감…"기후대응·교통복지 효과 입증"
단기권 출시·문화시설 할인…11월부터는 고양 3호선 10개역서도 사용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 붙은 기후동행카드 안내문[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 = 서울시는 평일 평균 54만명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 기후동행카드의 시범사업을 마치고 다음 달 1일부터 본사업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기후동행카드는 지난 1월 27일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이후 70일 만에 누적 판매 100만장을 돌파하는 등 단기간에 서울시의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시가 지난달까지의 기후동행카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 1명당 월평균 약 3만원의 교통비 절감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밖에 서울연구원이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천90명(유효 응답자 1천91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5일까지 심층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8%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한 뒤 주당 1.3회 외부 활동이 증가했다.

소비 지출은 외식·쇼핑·은행 저축 순으로 늘어났으며, 소비 지출 증가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4개월간 약 802억원으로 추산된다고 시는 설명했다.

유효 응답자의 37.6%인 719명은 월평균 승용차 이용을 약 11.8회 줄였다고 답변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환산하면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의 약 9%가 2∼5월 약 10만대 규모로 승용차 이용을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시는 전했다.


시는 시범사업 과정에서 쌓은 노하우와 시민 요청 사항을 반영해 내달 1일부터 본사업을 시작한다.

먼저 30일 단일권종을 1∼7일 단기권으로 세분화해 효율적인 이용을 돕는다.

단기권은 1일권(5천원)·2일권(8천원)·3일권(1만원)·5일권(1만5천원)·7일권(2만원) 등 5종이다. 머무는 기간이나 개인 일정에 따라 구매해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의 61%를 차지하는 만 19∼39세 청년을 위한 할인도 더 편리해진다.

앞으로는 5만5천원(따릉이 미포함)·5만8천원권을 바로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단, 공정한 사용을 위해 6개월마다 본인인증을 해야 하며 실물카드 이용자는 사전에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한 카드의 경우에만 할인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청년할인정책을 발표한 2월 26일부터 6월 30일 사이 기후동행카드 충전분은 7월 2일∼8월 5일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소급 환급을 받을 수 있다.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확대된다. 이미 할인 적용이 되는 서울과학관 등에 더해 7월부터는 서울식물원 입장료 50% 할인, 뮤지컬 '페인터즈' 관람료 20%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오는 11월에는 체크·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결합한 후불 기후동행카드가 출시된다.

매월 결제일에 이용 요금이 자동 청구돼 30일마다 직접 충전할 필요 없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7월부터 유료로 변경되는 청와대 노선 자율주행버스와 향후 추가될 새벽 자율주행버스, 10월 운행 예정인 '한강 리버버스'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시는 카카오맵과 연계한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경로 검색 서비스를 비롯해 기후동행카드 이용 실적과 연계한 자동차 보험료 할인 등 민간과의 협력도 진행 중이다.

다만 서울과 경기를 오가는 출퇴근 시민이 많은 상황에서 다른 수도권 지역으로의 서비스 확장은 과제로 남아 있다.

서울시는 인천과 경기 김포·군포·과천·고양시와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 가운데 경기 김포시와는 시스템 개발을 끝내고 지난 3월 30일부터 김포골드라인으로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나머지 기초지자체와는 아직 실무 논의 중이다.

오는 11월부터는 고양시 내 지하철 3호선 역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이날 기자 설명회에서 "경의·중앙선 적용도 함께 추진하고 있지만 우선 11월부터는 고양시 내 지하철 3호선 10개 역사(대화∼삼송)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와 직접 협의를 하고 있진 않다며 "관심을 보이는 서울 인접 기초지방자치단체와 논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애플의 아이폰에서도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 있도록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과 관련해 실무진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세훈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시범 기간 동안 기후와 교통복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며 효과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대중교통의 편리함을 체감해 스스로 승용차 이용을 줄여나가는 자발적인 기후 동행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ys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