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양성-취업-정주 체계 구축, 지역 주도 대학지원 우수 모델 개발

(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경남도는 8일 교육부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구축 시범지역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는 대학지원의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발전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으로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체계다.
교육부는 2025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를 전 지역으로 확대하기에 앞서 올해 경남 등 7개 시도를 시범지역으로 선정·운영함으로써 RISE 성공 모델을 마련하고 제도개선 사항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번에 경남도가 시범지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중앙정부 주도의 대학지원방식에서 지자체가 주도해서 지역을 살리고 지역대학을 육성하는 새로운 대학지원 체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시범지역은 지역혁신 관련 대학지원사업에서 가점 등 우대를 받고, 전문연구기관을 통해 컨설팅 지원과 고등교육 혁신특화지역 지정으로 지역대학 혁신에 필요한 규제 특례를 적용받는다.
이와 함께 도내 혁신 의지와 역량을 가진 대학을 '글로컬대학'으로 지정해 도와 정부 부처가 협력해 집중 육성한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경남도는 지역발전과 연계한 대학지원을 위해 도와 교육부가 공동 설계한 RISE 협약안을 6월까지 마련해 7월에 교육부와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 재정지원을 위한 비영리법인 'RISE센터'를 경남평생교육진흥원에 설립해 지역대학 지원을 위한 재정 지원 및 사업 기획을 하고, 정부 부처별로 흩어진 대학 재정지원 업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대학지원 전담조직을 도 교육담당관실에 구성해 경남의 RISE체계를 구축한다.

RISE 시범지역 선정에 따라 경남도는 4단계로 나눠 지역인재 양성과 인재 유출을 막는다.
먼저 1단계는 중등 단계부터 지역 산업과 대학 입시를 연계해 인재의 지역대학 유입을 유도하고, 대기업과 기관 등 취업 성공 스토리텔링 등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지방대학에 대한 인식을 전환한다.
인재 양성단계인 2단계는 도 주력산업 분야별 강점을 가진 대학을 특화해 지원하고, 글로벌 대학과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연구 중심의 특화 대학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이미 구축한 USG 공유대학(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Ulsan)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는 등 지역산업 연계를 강화한 형태의 혁신적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3단계는 재직자, 퇴직자 등에 대해 교육부 사업인 전문직업교육(HiVE)과 대학평생교육(LiFE) 사업의 광역 거점화로 평생교육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인재가 지역산업으로 회귀하는 선순환 체계를 마련한다.
마지막 4단계는 최근 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등을 입국단계부터 지역 내 정착까지 지원하는 교육체계를 마련해 해외 인재 유입을 유도한다.
하정수 경남도 교육담당관은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의 성공적인 정착으로 도내 인재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지역발전과 연계한 지역대학을 지원하고, 경쟁력 있는 글로컬 대학이 육성되도록 도내 대학, 기업 등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b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