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치

여인형 "체포·검거는 입에 밴 말"…체포조 의혹 반박(종합)

연합뉴스입력
尹측 질문에 "계엄 걸리니 머릿속 말 뱉어"…합수본 인력요청도 "실수" 주장
윤석열 재판에 증인 출석한 여인형(서울=연합뉴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10.24 [서울중앙지법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이승연 기자 =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체포조' 운영 의혹을 받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2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재판에 나와 "체포, 검거 이런 말은 입에 배어 있다"며 의혹을 반박하는 취지로 증언했다.

윤 전 대통령은 반대 신문에서 '계엄이 불가능하다'는 여 전 사령관의 발언에 "공감한다. 많은 숫자의 군이 투입되는 계엄이라는 게 현실적으로 대한민국에서 어렵다"면서 이른바 '경고성 계엄'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되풀이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증인으로 출석한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체포조 운영이 없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끌어내는 데 집중했다.

여 전 사령관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체포조 운영 의혹과 관련한 윤 전 대통령 측 질문에 "군인들은 체포, 검거, 공격해, 쳐부숴 같은 말은 입에 배어 있다"며 "저도 모르게 한 말이 있고, 저도 나중에 보니까 '이때 이런 말을 왜 썼지' 싶은 말도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체포 대상자 명단에 포함된 인물에 대해 '위치 추적보다는 (어디 있는지를) 확인해달라고 했던 것 아니냐'는 윤 전 대통령 측 질문에 "추적은 트래킹이라 불가능하고 정확히 '확인'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며 "이 사람들 어디 있을까를 물어봤다가 가장 자연스러운 말"이라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또 여 전 사령관,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 등의 메모에 적힌 이름이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 사람으로부터 지시가 내려온 거면 명단이 같아야 하는데 여기저기 흘러다니는 것을 종합하다 보니 다른 것 아니냐"고도 물었다.

이에 여 전 사령관은 "(명단은) 장관한테 들었다. 끄적끄적 썼고 김대우한테 불러줬고 김대우는 돌아가서 화이트보드에 적어놨다"고 했다.

이날 특검은 재주신문에서 윤 전 대통령이 지난 공판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에게 '위치 추적은 영장 없이 안 된다. 대통령은 검찰총장까지 지낸 사람인데 어떻게 이런 걸 시키고 여 전 사령관은 이런 걸 부탁한다는 게 연결이 안 되지 않느냐'고 질문하는 영상을 제시했다.

여 전 사령관은 이와 관련해 '지시 없이 이런 일을 했느냐'는 특검 측 질문에 "전 지시 받는 입장이라고 분명히 말했다"고 답했다.

그는 또 작년 11월 9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몇몇 이름을 듣고 받아적은 것은 맞다면서도 "그냥 적고 끝난 것이다. 그게 제 마음속에 있었으면 왜 한 달 동안 아무것도 안 했겠느냐"고도 반문했다.

그러면서 계엄 이틀 전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대권 등을 언급해 식탁 유리를 꽝 치면서까지 계엄은 불가능하다고 명백히 말씀드렸다"고 덧붙였다.

여 전 사령관은 당시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에 인력 100명씩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에 대해서는 "엄청나게 당황해서 실수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군인들은 연말쯤 되면 한해 훈련을 종합해서 작전계획을 새로 만드는데 내부적으로 합동수사본부를 만들려면 경찰 100명, 조사본부 100명(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했었다"며 "막상 비상계엄이 걸리니 당황하고 혼란스러워서 생각도 못 하고 머릿속 말을 실수로 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이 마당에 대통령님 편을 들 것 같나. 특검 편을 들 것 같나"라며 "천만에. 나는 첫째, 하나님 편이고 둘째, 국민들 편이고 셋째, 사랑하는 전우들 편"이라고 항변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어 증인으로 나온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에게는 "김용현이 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이 의원들 출입하는 건 막지 말라'고 말했는데 알고 있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에 김 전 청장은 "듣지 못했다"고 답했다.

한편 재판장인 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공판을 시작하기에 앞서 지난 재판에서 법정 내 허가 없이 촬영된 사진과 관련해 방청객들 사이에 생긴 시비를 언급하며 "탄원서를 제출한 분께 법정 질서를 유지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이후로는 그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저 때문에 오신 분들한테 당부 말씀드려도 되겠습니까"라고 묻자, 지 부장판사는 "피고인께서 그런 말씀하시는 건 적절하지가 않은 것 같다"며 제지했다.

재판부는 전날 공판준비기일에서 윤 전 대통령 사건을 다음 달 29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사건과 병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내년 1월 초 변론을 종결하겠다는 계획이다.

alread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2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