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대 '이집트 대박물관' 개장…6천년사 유물 10만점 총집결(종합)

(서울·이스탈불=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김동호 특파원 = 20년간의 건설 끝에 이집트 6천년 역사의 유물 10만여점을 소장한 '이집트 대박물관'(GEM: Grand Egyptian Museum)이 1일(현지시간) 정식 개관했다.
피라미드와 스핑크스로 유명한 기자 지역에 위치한 이집트 대박물관은 단일 문명에 헌정된 세계 최대의 고고학 시설이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기자 피라미드에서 1.6㎞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박물관은 약 50만㎡에 달하는 규모를 자랑한다. 공사비만 10억달러(약 1조4천억원)에 달했다.

피라미드를 본떠 우뚝 솟은 삼각형 유리 외관을 자랑하는 박물관 입구 아트리움에는 이집트에서 가장 유명한 파라오 중 한 명인 람세스 2세의 화강암 석상이 서 있다. 3천200년 전 작품으로 높이는 11.3m, 무게는 83톤(t)에 이른다.
1922년에 발굴된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나온 장례용 침대와 전차, 황금 왕좌 등 유물 5천여점이 한자리에서 처음으로 전시되며, 소년 왕의 상징인 황금 마스크도 함께 볼 수 있다.
피라미드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파라오 쿠푸가 부장될 때 함께 묻혔던 4천500년 된 목조선도 유명한 전시물 중 하나다.
상당수의 유물은 100년 넘게 명맥을 이어온 수도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에 있는 '이집트 박물관'에서 옮겨왔고, 룩소르와 민야, 소하그, 파윰, 델타, 알렉산드리아 등지의 박물관이 소장했던 유물도 이전됐다.

박물관은 2만4천㎡ 규모의 상설전시관을 비롯해 어린이 박물관, 교육시설, 대규모 보전센터 등을 갖추고 있으며, 12개 주요 갤러리는 기원전 5천년경 선사시대부터 기원후 400년경 로마시대까지의 유물을 시대별, 주제별로 전시중이다.
전시되는 유물의 규모는 5만여점에 달한다.
박물관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혼합현실(MR) 전시 등 멀티미디어 설명 기능을 관람객에게 제공한다.
박물관 건설은 2005년에 시작됐으나 2011년 '아랍의 봄' 봉기 이후 정치적 혼란으로 3년간 공사가 중단됐다. 10억 달러(약 1조4천억원) 넘는 비용을 들여 완공한 이후에도 코로나19 대유행과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 등 여러 이유로 공식 개관이 여러 차례 연기됐다.
다만, 박물관 내 일부 전시관은 '제한적 개관' 방식으로 1년 넘게 대중에게 공개됐다. 하루 관람객은 5천∼6천명에 달했다.
정식 개관에 따라 관람객은 하루 1만5천명, 연간 50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이집트 관광부는 예상한다.

이날 개막식은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세계 70여개국에서 온 지도자 및 왕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치러졌다.
엘시시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에서 "이 박물관은 고대 이집트인의 천재성과 현재 이집트인의 창의력을 하나로 모은 새로운 랜드마크로서 문명과 지식을 소중하게 여기는 모든 이들을 불러 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집트 대박물관은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인 이집트가 관광 산업을 진흥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단행한 역점 사업이다.
정부는 주요 외화 수입원인 관광 산업을 위해 박물관 주변 지역과 인근 피라미드, 스핑크스를 정비하는 한편 새 고속을 개통시켰으며, 지하철도 건설 중이다.
셰리프 파티 관광유물부 장관은 "박물관의 영향력은 그 자체의 경계를 훨씬 넘어 확장될 것"이라며 "이집트의 광범위한 관광 생태계의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집트 방문 관광객 수는 약 1천570만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이집트 관광부는 올해 관광객을 1천800만명으로 예상하며, 2032년까지 연간 3천만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다.
이집트 정부와 고고학계는 새 박물관이 이집트가 그간 귀중한 보물을 소홀히 관리해왔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고,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이집트 유물을 반환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집트 국영 매체 알아람 위클리는 특별호 기사를 통해 "이집트 대박물관은 루브르 박물관이나 대영 박물관의 복제품이 아니다. 이 박물관은 그들에 대한 이집트의 대응이다. 두 박물관은 제국주의의 산물이지만 이 박물관은 진정성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withwit@yna.co.kr
d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