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한국 축구
"토너먼트 무조건 간다" K리그 대표 선수들 한 목소리…"ACL서 경쟁력 보여주겠다" [현장 일문일답]
엑스포츠뉴스입력

아시아 강호들과의 격돌을 앞둔 선수들은 아시아 무대에서 K리그의 경쟁력 보여주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2025-2026시즌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에 참가하는 K리그 4개팀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지난 시즌 K리그1 챔피언 울산HD와 준우승을 차지한 강원FC, 그리고 4위로 시즌을 마쳤으나 군팀인 김천 상무가 ACL에 출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신 나서게 된 FC서울이 ACLE에 참가한다. 포항은 코리아컵 우승자 자격으로 챔피언스리그2(ACL2)로 향한다.
울산과 포항은 지난 시즌에도 ACL에 참가했고, 서울은 2020년 이후 5년 만에 ACL 무대를 밟게 됐다. 강원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ACL에 출전한다.
미디어데이에는 각 팀 사령탑들과 대표 선수들이 참석했다. 울산은 신태용 감독과 김영권, 강원은 정경호 감독과 이유현, 서울은 김기동 감독과 김진수, 그리고 포항은 박태하 감독과 김인성이 마이크를 잡았다.

다음은 ACL 참가 K리그 4개팀 미디어데이 선수 일문일답
-각오는.
▲김영권: 작년을 되돌아보면 우리가 아무래도 강원FC와 리그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었기 때문에 ACL에 집중하지 못한 게 있었다. 선수들이 리그에 집중하면서 ACL에서 부진한 성적이 나온 게 사실이다. 이번에는 감독님, 선수들과 많은 소통을 하면서 어떻게 ACL을 헤쳐나갈 것인지 많은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작년보다는 분명히 좋은 성적으로 보답해야 할 것이다.
▲이유현: 어린 선수들도 많고 처음 ACL에 출전하는 만큼 도전한다는 마음으로 가감없이 보여드리겠다. 지금 우리가 어떤 수준인지 평가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기 때문에 이번 ACL을 통해 그런 부분들을 증명하길 바란다.
▲김진수: 오랜만에 ACL에 출전하는 걸로 알고 있다. FC서울이 대한민국을 대표해 ACL에 출전하는 만큼 K리그를 사랑해 주시는 많은 분들을 위해 좋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첫 번째 경기가 중요하고, 조별리그를 통과하는 게 중요하다. 매 경기 서울 팬들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 내 개인적인 목표다.
▲김인성: ACL은 정보가 없어서 변수가 많고 어려웠었다. 많은 기대가 되고 설렌다. 감독님께서 믿음을 주신 만큼 열심히 준비하도록 하겠다.
-리그와 ACL 비중은 어떻게 둬야 한다고 생각하나.
▲김영권: 리그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지난 3년간 단 한 번도 이런 시행착오 없이 3연패를 했다. 선수들도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 나 역시 '과연 어떻게 이 위기를 모면할 수 있을까' 많은 고민을 하는 중이다. 나는 리그가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리그가 우선이지만 ACL을 포기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가 ACL의 중요성도 알고 있다. ACL은 우리에게 주어진 특권이다. 그 특권을 리그와 병행하면서 잘 살리는 게 중요하다.

-이번 대회에서 기대되는 어린 선수가 있다면.
▲김인성: 일정상 분명히 이원화를 할 수밖에 없다. 아직 출전하지 못했지만 열심히 준비하고 있는 어린 선수들이 있다. 고참으로서 아직 출전하지 못한 신인 선수들과 기회를 받지 못한 어린 선수들이 기회를 받았을 때 많은 것을 얻고 성장하면 좋겠다.
▲김진수: 전에 선수들에게 했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이제부터 경기 수가 많아져서 분명 모든 선수들이 경기에 출전할 거라고 생각한다. 어떤 포지션이든 잘 준비해야 하고, 다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선수들에게 말했다.
김인성 선수의 말처럼 분명 경기를 못 뛰지만 열심히 훈련하는 선수들이 있다는 걸 안다. 나이가 어린 선수들, 경기를 뛰지 못하는 선수들이 많이 있는 걸로 알고 있어서 그 선수들에게 해줄 말이 이것이었다. 선수들이 잘 준비한다면 경기에 나설 거라고 생각해서 내가 할 조언은 딱히 없을 것 같다. 내가 잘하면 어린 선수들이 잘할 것이다.
-강원이 ACL에서 보여주고 싶은 게 무엇인가.
▲이유현: 감독님께서 매 경기마다 전략적, 전술적으로 굉장히 잘 알려주시고 선수들이 잘 구현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지시를 해 주신다. 그래서 현재 강원이 경기 내용과 결과를 잘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팀에 워낙 어린 선수들이 많지만 허물없이 잘 지내고 있다. 원활하게 소통이 되다 보니 감독님과 선수들 사이도 좋다. 감독님께서 지시하시는 부분들을 그라운드 위에서 잘 구현할 수 있도록 좋은 분위기를 조성하면 될 것 같다.

-기대되는 경기가 있다면.
▲김영권: 첫 경기인 청두 룽청전이 기대가 된다. 나도 서정원 감독님과 연이 있었고, 서 감독님께서 지금 중국에서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시고 있어서 기대가 된다. 전 제자로서 지금의 서 감독님이 만든 팀을 보고싶고, 그 팀이 과연 얼마나 저력을 갖고 있는지도 궁금하다. 기대되고 설레고, 걱정도 된다. 청두전이 중요한 경기라고 생각한다.
▲이유현: 개인적으로는 마치다 젤비아와의 경기가 기대된다. 대학교 때 친구였던 나상호 선수가 마치다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고, (오)세훈이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어서 마치다와의 경기가 가장 기대되는 것 같다.
▲김진수: 한국 선수들이 있는 팀과 경기를 할 때 꼭 이겨서 '다시 돌아와야 하나'라는 생각을 갖게 하고 싶다.
▲김인성: 첫 경기인 빠툼전이 기대된다. 원정에서 상당히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길 수 있도록 잘 준비하겠다.
-일정이 나왔을 때 선수들의 반응이 어땠나.
▲이유현: 일정이 나오고 선수들은 '와 멀다'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그래도 아까 감독님의 말씀처럼 태국 원정이 시즌 막바지에 있고, 내년 첫 경기가 맬버른전이어서 다행인 것 같다. 원정이 너무 멀다보니 쉽지 않은 경기가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좋은 경험이니까 강원의 축구를 증명할 수 있도록 잘 준비하도록 하겠다.
▲김영권: 개인적인 생각은 '이것보다 더 좋은 조 편성을 바라면 도둑놈이지 않나'였다. 우리는 힘들다는 원정을 다 피했고, 홈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는 팀들과 싸울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유리한 조 편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리그 원정 당시 호텔에서 조 편성을 봤는데, 선수들도 '그래도 이 정도면 우리가 충분히 유리한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더욱 중요한 ACL이 될 것 같다.
▲김진수: 원정을 멀리 가지 않아도 돼서 팀적으로나 개인적으로도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강원이 먼 길을 가게 됐는데, 그래도 열심히 응원해야 할 것 같다. 팀적으로는 리그도 있고, ACL도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먼 원정보다는 가까운 원정이 낫다고 생각해 모든 선수들이 다행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김인성: 조 편성에 대해 그렇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ACL2 예선은 무조건 통과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다만 마지막 경기가 홈 경기였다면 좋았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본인들에게 ACL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대회인가.
▲김인성: 처음으로 프로 생활을 시작했을 때 출전한 ACL과 지금의 ACL은 규모와 퀄리티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선수도 ACL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 좋은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고, 팀도 거기에 맞게 홍보도 되고 재정적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도의 규모가 됐다. 한국 팀들이 최대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이름을 알리면서 선전하길 바란다.
▲김진수: 개인적인 목표는 다른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우승이다. 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의 경우는 약간 다르다. 오랜만에 ACL에 출전하기 때문에 선수들의 동기부여도 상당할 거다. 아시아 무대에 나가면 선수들에게 좋은 일들이 많을 것이다. 경험을 돌아보면 좋지 않은 것보다 좋은 일들이 더 많았다. 많은 도움이 되는 대회라고 생각하고 있다. 잘 준비해서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
▲이유현: 개인적으로나 팀적으로나 ACL이라는 큰 무대를 통해 강원에 좋은 퀄리티를 가진 선수들이 많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길 바란다. 또 이번 ACL로 인해 선수들이 더 좋은 팀으로부터 제안을 받을 수 있길, 강원이 좋은 축구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길 바라고 있다.
▲김영권: ACL의 의미를 생각하면 K리그 팀들이 꼭 한 번씩은 출전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프로 생활을 하면서 ACL에 8~9번 정도 출전한 것 같다. 리그에서만 성장하는 것보다 ACL을 병행하면서 성장하는 부분이 있다. 나도 직접 경험했다. 중국, 일본, 한국에서 ACL을 경험하며 직접 눈으로 봤기 때문에 K리그의 다른 팀들과 선수들이 많이 발전하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ACL은 선수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