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총·칼' 등 위해물품 밀반입 작년 3만점 육박…두배 껑충

연합뉴스입력 2025-07-22 21:15:00
화약식 타정총 등 총기류 적발 급증세…올해 들어 작년 적발량 추월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차 불법무기류 자진신고 기간'인 2일 오후 경기도 수원남부경찰서에서 범죄예방질서계 경찰관들이 보관 중인 무기 등을 살펴보고 있다. 경찰청은 국방부·행정안전부와 합동으로 9월 한 달간 '2차 불법무기류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대상은 허가 없이 소지하고 있거나 소지 허가가 취소된 총기, 화약류(화약·폭약·실탄·포탄 등), 도검, 분사기, 전자충격기, 석궁 등이다. 2024.9.2 xanadu@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국내로 몰래 들여오다 적발된 총기·화약·도검류 등이 3만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관세청이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관세청이 적발한 무기류 등 사회안전 위해 물품은 2만9천210점으로 집계됐다.

전년(1만4천757점)의 두배 가까운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총기·실탄, 칼날이 일정 길이 이상인 도검류 등은 특정 기관·단체가 관계당국의 허가가 있을 때 예외적으로 수입할 수 있다. 사실상 개인이 국내로 반입할 수 없다는 의미다.

적발 품목 중 건설 현장에서 못 등을 박는 데 사용하는 타정총이 4천358점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엔 전년(2천252점)의 2배 가까운 수준으로 급증했고, 올해는 4월까지 5천472점으로 이미 작년 한 해 적발량을 넘어섰다.

일반적인 타정총과 달리 화약 폭발을 동력으로 하는 화약식 타정총은 당국의 수입 허가가 필요하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25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경찰청 장한로 별관에서 범죄예방질서과 풍속범죄수사팀이 불법 모의총포 판매업체 운영자 및 개인 판매자를 검거한 뒤 압수한 물품들을 정리하고 있다. 수사팀은 온ㆍ오프라인에서 모의총포를 수입해 판매한 업체 대표와 운영자, 개인 판매자로부터 모의총포 총 820정을 압수했다. 2025.6.25 yatoya@yna.co.kr

총기와 총기 부품도 각각 21점, 12점 적발됐다. 밀반입된 실탄류 357점도 덜미를 잡혔다.

도검류는 3천213점이 적발돼 타정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지난 21일 60대 남성이 사제 총기로 아들을 쏴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총기 관리 사각지대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남성의 주거지에서는 타이머가 작동 중인 사제 폭발물도 발견됐다.

지난 5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이 당시 이재명 대선 후보를 노린 테러 위협 제보가 있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불법 총포류 관련 우려가 커지기도 했다.

박성훈 의원은 "사제 총기를 이용한 사망사고가 계속되는 가운데 총기·도검 등 위해물품의 밀반입도 심각한 수준"이라며 "불법 무기류와 관련해 전방위 점검과 유통 차단·처벌 등 실효적 대응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
나무뉴스 - '총·칼' 등 위해물품 밀반입 작년 3만점 육박…두배 껑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