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

"비수도권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7년 새 3배 늘어"

연합뉴스입력 2025-07-22 07:57:12
이민정책연구원 분석…경상·전라권 등 지역 곳곳서 외국인주민 증가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극심한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11일 국내 최대의 고랭지 채소단지인 강원 강릉시 왕산면 안반데기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배추밭에 물을 주고 있다. 2025.7.11 yoo21@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외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이거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지역을 의미하는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민정책연구원은 22일 '통계를 통해 살펴본 외국인 주민 집중거주지역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월 기준 3개월 이상 국내에 거주한 외국인주민은 246만명으로,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외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시군구를 의미하는 '외국인 집중거주지역'도 2023년 기준 127곳으로, 전년(97곳) 대비 31% 증가했다.

전국 229개 시구군 가운데 과반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에 해당하는 셈이다.

2016년만 하더라도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65곳 가운데 63%(41곳)가 수도권에 몰렸고, 비수도권은 37%(24곳)에 그쳤다.

하지만 2023년에는 수도권 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은 48곳으로 소폭 늘어난 데 비해 비수도권은 79곳으로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이는 기존에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던 충청권과 경상권뿐만 아니라 전라권 등 비수도권의 여러 지역에서 외국인 주민이 증가한 결과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이 1곳에서 10곳으로, 전남이 2곳에서 11곳으로 급증했다. 충남도 3곳에서 13곳으로, 경북도 4곳에서 12곳으로 불어났다.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1곳도 없었던 강원과 대전은 각각 3곳, 1곳으로 늘었다.

다만 집중거주지역의 외국인 주민 규모는 여전히 수도권이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의 평균 외국인 주민 수는 2만7천538명으로, 비수도권(9천391명)보다 약 3배 많았다.

연구진은 "많은 지자체가 지방교부세 산정 시 외국인 주민 규모 반영 확대를 중앙정부에 요구하는 등 이들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며 "외국인 주민의 유입 정책이 지역경제와 사회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설계와 기초자료 구축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민정책연구원 제공]

shlamaz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
나무뉴스 - "비수도권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7년 새 3배 늘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