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러 침공 대비 시민 매뉴얼 제작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폴란드 정부가 전쟁이나 자연재해가 닥쳤을 때 행동요령을 담은 안내 책자를 만들어 전국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란드 내무부는 식수 확보와 공습·정전 때 대처 방법, 대피소 위치 등을 정리한 40쪽 분량의 '안전 가이드'를 오는 9월까지 만들 예정이다.
영어·우크라이나어 번역본과 점자본, 어린이용 책자를 따로 제작하고 폴란드 내 1천400만 가구에는 인쇄본을 배포할 계획이다.
폴란드에서 이같은 방식의 공공 인식 제고 캠페인은 수십 년 만에 처음이라고 현지 매체 TVP는 전했다.
내무부 시민보호·위기관리국의 로베르트 클로노프스키 부국장은 "전쟁은 전선에서 이기는 게 아니다. 우크라이나 사례가 그걸 명확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부전선에 해당하는 폴란드는 러시아 역외영토 칼리닌그라드, 러시아의 맹방 벨라루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비중을 유럽 최고 수준으로 늘렸다. 러시아·벨라루스와 접경지대에는 '동부 방패'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최첨단 안티드론(드론 무력화) 시스템과 대전차 방호벽 등을 세우고 있다.
동쪽 국경의 물리적 장벽은 벨라루스에서 넘어오는 불법 이민자를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다.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사회불안을 야기하려는 하이브리드 전술의 하나로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난민을 모집한 뒤 고의로 밀어낸다고 주장한다.
벨라루스와 국경에서는 철책을 넘으려는 난민과 이를 막는 폴란드 국경수비대의 물리적 충돌이 잇따르고 있다. 폴란드 당국은 벨라루스 쪽에서 많게는 하루 200명 넘게 불법 월경을 시도하는 걸로 파악했다.
dad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