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탄에 쑥대밭 된 일본…교토·도쿄도 불바다 될 뻔했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폭격기 '에놀라 게이'에는 5t에 달하는 거대한 원자폭탄 '리틀 보이'가 매달렸다. 조종사들은 청산가리를 지급받았다. 어쩔 수 없이 적지에 착륙할 경우에 쓸 비상용이었다. 에놀라 게이와 나머지 두 대의 전투기는 초승달 빛을 헤치며 밤하늘을 날았다. 그로부터 몇 시간이 지난 오전 8시15분 15초, 마침내 폭탄 투하실 문이 열리고, 리틀 보이가 밝은 햇살을 갈랐다. 43초 후, 조종석은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밝은 빛으로 가득했고, 충격파가 폭격기를 때렸다. 곧이어 "살아 있는 생물처럼 끔찍하게" 솟구쳐 오르는 구름이 조종사들의 시야에 들어왔다. 그 아래 히로시마는 "타르 양동이처럼" 검게 끓어올랐다.

1945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은 전무후무한 공포를 자아냈다. 히로시마에 떨어진 리틀 보이는 순식간에 7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또 다른 7만명이 곧이어 그 뒤를 따랐다. 도시의 60%가 파괴됐고, 약 10㎢의 땅에는 파괴된 건물 잔해도 보이지 않았다. 도시는 마치 "무시무시한 바람에 휩쓸린" 평평한 잿빛 황무지처럼 변했다.
압도적인 위력 앞에 미군과 일본군의 희비는 엇갈렸다. 오키나와에서 출격을 기다리던 미 해병대는 가슴을 쓸어내렸다. 일본 본토에서 전면전이 벌어지면 30만명 넘는 미군이 죽을 것으로 관측됐기 때문이다. 땅굴까지 파며 전면전을 준비하던 일본군은 넋이 나갔다. 처음에는 폭탄의 위력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하지만 곧 "1억명이 다 죽을 때까지" 싸우겠다며 항전 의지를 다졌다.




저자는 항복파와 항전파로 나뉜 일본 최고전쟁지도회의의 갈등 상황, 원자탄에 대한 미국 지도부의 입장 변화, 예측 불가한 소련의 태도 등 당시의 복잡하면서도 급박한 상황을 등장인물들이 남긴 일기와 각종 기록을 토대로 현재 시제로 재구성해서 들려준다.
특히 전쟁을 끝내야겠다는 각오와 함께 민간인 살상에 대한 두려움을 간직한 인물들의 복잡한 심리묘사, 말이 아니라 고갯짓과 눈깜박임 등으로 은연중에 속내를 내비치는 '하라게이'(뱃속 기예)에 정통한 일본 군부 인사들의 욕망과 두려움을 탁월하게 묘사했다,
아울러 능구렁이 같은 트루먼 대통령, 이기적이며 야심만만한 맥아더 장군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의 면면도 생동감 있게 전한다.

까치. 조행복 옮김. 392쪽.
buff2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