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사상자 난 일차전지 제조업체 화성 아리셀 공장은(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4-06-24 17:37:32 수정 2024-06-24 17:59:50
지난달 안전점검 완료…11개 건물로 이뤄진 리튬 배터리 제조 업체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현장(화성=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4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업체 공장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진화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ondol@yna.co.kr

(화성=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24일 화재가 난 경기 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은 일반철골 구조의 11개 건물로 이뤄졌다.

[그래픽] 화성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zeroground@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공장 건물은 전곡해양산업단지 북동쪽 5천915㎡ 부지 내에 다닥다닥 붙어 있다.

11개 동 가운데 2, 4, 5, 6, 7동 건물은 2017년 10월에 건축됐고, 이날 불이 난 3동을 포함해 1, 8, 9, 10동은 2018년 4월에 건립됐다.

11동 일부(기계실)는 2020년 7월 증축됐다.

건축면적은 3천299㎡, 연면적은 5천530㎡에 달한다.

이 공장에서는 주로 일차전지인 리튬 배터리를 제조하고 보관해 온 것으로 조사됐다.

화재 당시에도 3동 2층 안에는 배터리 3만5천여개가 보관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곡해양산단 입주기업협회 관계자는 "아리셀이 협회 소속사가 아니어서 잘 알지 못한다"며 "다만 한 8년여 전에 입주한 중견 기업이란 얘기만 들었다"고 말했다.

아리셀이 유해화학물질 취업 업체이다 보니 공장 운영 허가나 정기 안전 점검 권한은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에 있다.

환경부는 가장 최근 안전 점검은 지난달 17일 있었으며, 특이점이 없었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점검 결과 적발 사항이 없어서 처분한 것도 없었다고 보고받았다"며 "특히 이번 화재가 리튬과 관련된 것이라면, 리튬은 유해화학물질이 아닌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되므로 안전 점검과도 큰 연관성은 없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화성시는 그간 안전 점검 내역을 한강유역청 측에 요청해 놓은 상태다.

이날 화재는 오전 10시 30분께 아리셀 공장 내 2층짜리 건물인 3동 2층에서 리튬 배터리 1개에 불이 붙으면서 급속도로 확산했다.

당시 3동에서 일한 근무자는 총 67명으로, 화재 당시 1층에서 15명이, 2층에서 52명이 각각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파악된 인명피해는 사망 16명, 중상 2명, 경상 5명이지만, 아직 연락이 닿지 않는 실종자가 6명 더 있어 인명피해는 늘 가능성이 있다.

이날 불은 다행히 다른 건물로 옮겨붙진 않았으나 3동 내부에서 근무 중이던 직원들이 많아 인명 피해가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goal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