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청년주거정책 193개→10개로 정리…'마이홈' 앱에서 한눈에

연합뉴스입력
소득기준은 중위소득·연소득으로 통일
[국토교통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193개로 흩어져 있던 청년주거정책을 10개 유형으로 단순화했다고 30일 밝혔다.

청년 주거정책은 '마이홈 앱'의 청년전용 페이지 한곳에 모아 알린다.

새로 개편한 청년 주거정책 유형은 공공임대, 민간임대, 공공분양, 민간분양, 대출지원, 청약지원, 주거급여, 월세지원, 비용지원, 기타지원이다.

전수조사를 통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사업이 중복되는 경우 전국단위 사업으로 통합했다.

정책별로 제각각인 소득 기준은 정책 유형별로 통일했다.

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중위소득, 연평균소득 등 다양한 소득 기준이 혼용돼 청년들이 스스로 정책 대상에 해당하는지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주택 공급과 주거비 지원 사업 대상 선정 때는 '중위소득'을 사용하고, 금융지원 때는 상환능력 확인을 위해 '연소득'을 사용하도록 기준을 마련했다.

또 '마이홈 앱'에서 청년주거정책을 확인하고, 맞춤형 정책 추천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사는 지역, 소득, 연령 등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할 수 있는 주거 정책을 추천하고, 진단 결과 화면에서 바로 신청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
청년주거정책 193개→10개로 정리…'마이홈' 앱에서 한눈에 (연합뉴스) - 나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