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8.2GW 해상풍력 최대걸림돌 '송전설비 비용' 해결


(신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국내 최대규모 전남 신안 8.2GW급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송전설비 사업비 문제가 해결돼 사업 추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전남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해상풍력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위한 한국전력(한전)의 선(先)투자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 제도는 해상풍력 발전단지에서 생산한 전력을 공용 송전망에 연계하는 공동접속설비를 송전사업자인 한전 비용으로 건설하는 것이다.
한전이 부담한 설비 비용은 해상풍력 사업자에게 이용 기간에 회수한다.
그동안 공동접속설비 비용은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 규정에 따라 발전사업자가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하지만 해상풍력 사업의 경우 초기투자 부담이 매우 크고 건설 리스크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어 사업추진에 걸림돌이 돼 왔다.
신안 해상풍력 사업도 9천억원에 달하는 송전설비 비용 조달이 난관에 부딪히면서 사업 진척이 더뎠다.
전남도 등 지자체와 발전사업자들은 정부에 이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타 사업과의 형평성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공전을 거듭했다.
고심 끝에 정부가 관련 고시를 개정해 송전사업자인 한전의 선투자 근거를 마련해 이를 해결했다.
공동접속설비 선투자는 건설비용의 경제성과 전력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해 발전설비용량이 2천㎿(메가와트) 이상인 해상풍력 집적화단지에 우선 적용한다.
국내 최대 규모인 8.2GW급인 신안 해상풍력단지도 여기에 해당하는 만큼 전기위원회에서 공동접속설비 선투자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사업대상이 될 것으로 전남도는 기대했다.
또 한전이 송전설비 비용을 부담할 수 있게 된 만큼 발전사업자의 초기 투자 부담이 크게 완화돼 신안 해상풍력사업 추진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발전단지가 활성화되고 민간참여도 크게 확대되는 등 파급 효과도 클 것으로 전남도는 내다봤다.
전남도 관계자는 "신안 해상풍력 사업은 전남형 일자리 사업으로 지역경제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며 "송전설비 문제가 해결된 만큼 후속 사업추진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한전, 발전사업자, 시군 지자체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