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단협 갈등' 한국GM 노조, 파업 보류…서명운동 돌입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한국지엠(GM) 사측과의 임금·단체 협약 교섭에 난항을 겪는 이 회사 노조가 파업 카드를 잠시 보류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는 15일 오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GM 노조는 애초 이날 파업 돌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지만 대책위 논의 결과 다음 주에 이뤄질 18차 임단협 단체교섭에서 사측 제시안 내용을 보고 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노조는 또 구체적인 미래발전전망과 조립2부 근로자의 부당 징계 철회를 요구하며 전 조합원 대상 서명 운동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사측이 제조 과정을 평가하는 글로벌 생산 시스템(GMS) 수검을 모두 거부하고 조합원의 잔류 근무와 조기 출근도 하지 않기로 했다.
한국GM 노조 관계자는 "교섭 과정에서 일부 부서 근로자 33명이 협의 없이 징계를 받아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서명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며 "파업 여부는 다음 교섭 때 사측 제시안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조는 앞서 이날 오전 열린 17차 교섭에서도 미래발전방안에 대한 사측과의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자 대책위를 열어 파업 여부 등을 논의했다.
노조 측은 이전 교섭 때와 같이 부평2공장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 '트랙스'와 중형 세단 '말리부' 등이 단종되면 공장 폐쇄나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며 신차 배정 등 2022년 이후의 생산 계획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신차 배정에는 장기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날 부평2공장의 말리부·트랙스 생산 연장, 근로자 1천600여명의 고용 안정책 강구 등을 담은 제시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GM 노조가 당장 파업에 나서지는 않았으나 임단협 교섭 등을 둘러싼 노사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앞서 노조는 산업재해 예방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단체협약을 위반했다며 고용노동부와 검찰 등에 사측을 고소·고발한 상태다.
노조는 부평공장 내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과 229명 퇴사 이후 대체 인력을 채용하지 않은 점 등을 사측의 법규 위반 사례로 들었다.
cham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