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의 장수IP의 모바일게임 출시의 첫 포문을 열었던 ‘마비노기 모바일’이 지스타 2018 현장에서 시연이 가능하다.
마비노기의 첫 디렉터인 김동건 개발자가 절치부심해 제작했다는 ‘마비노기 모바일’은 ‘마비노기’ 초기의 생활과 커뮤니케이션성을 살리고 새로운 전투시스템을 장착하고 돌아왔다.
또한, 앞서 개최한 지스타 프리뷰에서 넥슨이 ‘마비노기 모바일’의 메인 스토리인 G1, 2는 원작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G3부터 모바일만의 새로운 전개가 된다고 예고해 유저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첫 접속부터 마비노기의 초기 마스코트 캐릭터 로나가 유저들을 반겨주며 추억을 상기시킨다.
이어서 펼쳐지는 첫 마을인 티르코네일은 모바일에서 완벽히 구현됐다. 퀘스트를 진행하면서 익숙한 얼굴들을 만나게 되는데, NPC에게 원작에 없었던 목소리가 생겼다는 점은 원작 팬들에게 감동적인 부분이다. 다만 마을촌장인 던컨은 촌장 할아버지가 아닌 할머니로 변했다.
생활스킬인 양털깎이나 방직 또한 건재했다. 양털을 깎고 주변에서 양들을 위협하는 늑대들을 퇴치하는 퀘스트로 생활과 전투를 동시에 배울 수 있다.
전투와 스킬 시스템은 많은 변화를 찾아볼 수 있었다. 무기별로 다양한 전투스킬을 지니고있으며,몬스터들의 공격범위가 보이며 이를 피해 틈새를 노릴 수 있다. 이는 초기 마비노기의 전투시스템인 상성 시스템과는 조금 다른 느낌이지만 모바일만의 시원시원한 전투가 돋보인다. 하지만 상성 시스템이 완전히 사라진 느낌은 아니었다. 스킬은 원작 특유의 스킬 숙련도나 랭크업은 이번 시연 버전에서는 확인이 어려웠다.
‘마비노기’를 오픈 초기부터 지금까지 플레이 중인 필자가 느낀 ‘마비노기 모바일’은 원작의 추억을 소환함과 동시에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여기에 세로와 가로화면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은 밀레시안들의 플레이 스타일을 고려한 제작진의 배려가 느껴졌다. 이번 지스타 2018에 방문하는 모든 밀레시안이 마비노기 모바일을 통해 티르코네일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지길 바란다.